Current Issu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 No. 1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8, No. 1, pp. 45-6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1
Received 30 Nov 2020 Revised 04 Jan 2021 Accepted 04 Jan 2021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1.38.1.45

장애예술에 참여하는 무용가들의 문화다양성 수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류진욱* ; 김지영** ; 홍애령***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용학과 박사 (ryudhl@naver.com)
**상명대학교 무용예술학과 조교수 (artsedu@smu.ac.kr)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전임연구교수 (dphong@smu.ac.kr)

Grounded Theory Approach for Cultural Diversity Acceptance Process of Dancers Participating in Disability Art
JinWook Ryu* ; JiYoung Kim** ; AeRyung Hong***
*Ph.D., College of Art, Department of Dance Arts, Sangmyung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Art, Department of Dance Arts, Sangmyung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Global Research Institute for Arts and Culture, Sangmyung University

CopyrightⒸ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연구는 장애예술에 참여하는 무용가들의 문화다양성 실천, 수용과정에 관한 요인과 그 과정의 의미들을 통해 장애무용의 학술적 담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장애예술에 참여하는 무용가들의 작업 경험과 상호작용 구조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접근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비장애무용가와 장애무용가 중 한국무용, 현대무용, 휠체어 무용, 통합적 무용교사, 안무가로 활동 중인 7인을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거쳐 상황모형으로 구성하였으며, 개념들을 범주화·조직화하는 과정을 거쳐 이론을 통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 자료를 줄 단위로 분석하여 총 190개의 개념, 33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후 하위 범주들 중에서 유사한 것들을 묶어 16개의 상위 범주로 분류하였다. 둘째, 개방코딩의 과정을 통해 결정된 16개의 상위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패러다임 모형과 과정 분석을 통해 장애예술에 참여하는 무용가들의 문화다양성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핵심 범주는 ‘장애와 비장애 무용수간의 협업을 통해서 다양성을 포용한 통합적 접근방법 수용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다양성을 포용한 통합적 접근방법 수용하기를 속성과 차원으로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장애에 대한 사회적 선입견을 예술의 다양성으로 확대하여, 새로운 형태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를 매개로 하는 예술에서 장애는 부정적인 의미로 자리 잡고 있지만, 춤을 통해 이러한 선입견을 해소하고 물리적인 신체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discussion on disability dance based on the factors for the cultural diversity practicing and accepting process of dancers participating in the disability arts, and the significances of the process. Non-disability and disability dancers in South Korea and overseas were the candidat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and seven persons who were actively working as Korean traditional dancer, modern dancer, wheelchair dancer, integrated dance teacher, or choreographer were selected. After undergoing a process of collecting the basic data of the dancers from September 2019,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through depth-interview starting from October 20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depth-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used. This study provided data for the cultural diversity acceptance process along with the perception of dancers participating in the disability art for disability,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ng the social prejudice for disability in a new form by expanding it to diversity of art.


Keywords: disability art, cultural diversity, physical body, empathy development
키워드: 장애예술, 문화다양성, 물리적 신체, 공감대 형성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류진욱의 박사학위논문을 수정, 보완한 연구임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8104241)


References
1. 강부자(2019).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내 한국출생 성인초기 자녀의 성장과정과 사회적응: 근거이론접근. 상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 김지영, 박인실(2016). 무용패러다임의 진화: 실천공동체의 이론과 사례를 근거로 한 커뮤니티댄스의 재개념화.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5(4), 443-462.
3. 김지영, 이원일(2016).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가르치는 무용가(Dance Teaching Artist)의 전문성 형성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3), 139-154.
4. 김지영, 하영미, 김은혜(2019). 문화다양성 담론의 무용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용예술학연구, 75(3), 37-56.
5. 문영민(2017). 공연예술 활동을 통한 신체장애인의 장애정체성 변화 과정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6.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기초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7. 송영화(2017).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정책 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8. 박신영(2012). 무용예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9. 방귀희(2019). 장애인예술론. 서울: 도서출판 솟대.
10. 임수진(2015). 댄스 리터러시 개념 및 교수방법 탐색: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개념틀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1. 원은정(2010). 무용전문축제의 사회적함의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12. 이유리(2007). 최근 국내외 무용치료 현황 및 제도적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 25(2), 137-164.
13. 홍애령(2015). 장애인의 문화예술향유를 위한 장애인 무용의 개념 및 가치 재탐색. 문화정책논총, 29(1), 78-102.
14. 홍애령, 남진희(2018). 문화다양성과 사회통합을 위한 학교무용의 가치체계와 교육목표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7(2), 399-411.
15. Kim, J. Y., & Hong, A. R. (2020). How can we lead creative choreography?: Narrative inquiry of dance educators' teaching experiences in dance clas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 in Dance and Physical Education, 4(1), 61-74.
16. LAWnB. https://www.lawnb.com/Info/ContentView?sid=L000001444_10, 2020.11.30. 검색
17.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Sage Publicati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