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4, pp.57-72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2
Received 07 Sep 2022 Revised 11 Oct 2022 Accepted 26 Oct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4.57

안무가들이 생각하는 안무가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자질에 관한 현상학 연구

손가예*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전임교사 ijmson@naver.com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oles and qualities required of choreographers
Gaye Sohn*
*Teacher, National High School of Traditional Korean Arts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1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중견 안무가들이 생각하는 안무가들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자질을 현상학 연구의 이론과 기법을 활용하여 탐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안무경력 15년 이상의 안무가들 6인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자는 현상학 연구의 절차에 따라 의미군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 결과를 서술하였다. 제시된 연구 결과는 첫째, 안무가에게는 예술적 창조자의 역할과 연구자의 역할, 도전자의 역할, 조정자의 역할, 행정보급관의 역할 및 감독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안무가들은 새로운 작품을 창조하기 위해 고민하고 공부해야 하며, 무용수 및 공연 관계들과의 관계정립과 갈등조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안무가에게는 작품을 재해석할 수 있는 능력, 무용수 및 공연 관계자와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부지런하고 시간을 엄수할 수 있는 능력, 리더십, 통찰력과 창의성의 자질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안무가는 무대 연출가, 기술자, 연구자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안무가의 자질 중 특히 중요한 자질은 팔로우 리더십과 실력에 기반한 카리스마, 의사소통의 자질이라는 점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a study that explores the roles and qualities required of choreographers by mid-level choreograph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using phenomenological theories and techniqu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choreograph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choreography experience and observed the choreography practices of the choreographers. The researcher derived meaning group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described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m. The presented research results show that first, the role required for a choreographer is the role of an artistic creator who creates new and creative works of art (choreography), the role of a researcher who studies and studies fo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works, and the fear of new challenges and applications. Able to fully understand and use the performance environment and performance techniques, the role of a contender who does not perform, the role of a coordinator who constantly communicates with the dancers and audiences to solve problems It's the director's role. Second, the qualities required of a choreographer are the ability to reinterpret a work,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dancers and performers, the ability to be diligent and punctual, leadership, insight and creativity, playfulness and sociability. The conclusion draw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s that the role of a choreographer should develop into a choreographer, stage director, engineer, and researcher. And the qualities of a choreographer are that they need follow leadership based on charisma, charisma and skills that can dominate dancers, and qualities that can lead by example and communicate.

Keywords:

dance students, dance genres, official journal,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키워드:

안무가, 무용수, 안무가에게 요구되는 역할, 안무가에게 필요한 자질, 현상학

References

  • Helmut, Danner(2004). Method den geisteswissen schriftlicher. Padagogik: Munchen.
  • 강여주(2007). 안무가와 무용수 및 관객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의미생성 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강영아(2012). 안무가 성향에 따른 대전시립무용단의 정체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강진주(2012). 안무가의 성격특성과 동기유형 및 무용창작능력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경미, 이병준(2017). 문화적 학습에 기반한 무용단의 조직학습 연구 : A 대학무용단 적용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2(4), 22-56.
  • 김경미, 이병준(2020). 제스처 기반 무용교육이론에 대한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5(5), 102-134.
  • 김근태(2017). 안무가의 무대연출론. 한국무용교육학회, 56(2), 33-52.
  • 김문애(2003). 무용의 역사. 서울: 학지사.
  • 김분홍(2012). 신진안무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운영실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김연정(2013). 안무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 김영천, 정정훈(2021). 사회과학을 위한 질적연구 핸드북.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김영천, 주재홍, 정정훈, 조재성(2020). 교육과정학과 수업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김은미(2006). 안무가 매튜본(Matthew Bourne)의 parody성향에 나타난 창조성 연구: 매튜본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김지연(2009). 안무가로 본 한국창작발레(Korean Ballet) 변천 과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김화숙(1996). 무용학개론. 서울: 청비.
  • 도리스 험프리(1999). 현대무용 안무론. 서울: 현대 미학사.
  • 민애경(2007). 창작무용가의 안무성향이 작품 활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박금란(2008). Plié 동작의 수행 평가척도 개발과 규준지향검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박선희(2012). 무용과 안무. 서울: 학지사.
  • 박혜연(2013). 창작무용가의 안무성향이 작품 활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백지연(2009). 젊은 안무가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송수남(1983). 교육무용개론. 서울: 녹원출판사.
  • 신경림 외(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신상미(1996). 무용이란 무엇인지에 관한 소고,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안민수(1998). 연극연출:원리와 기술. 서울: 집문당.
  • 안창용(2021). K-POP댄스 안무가들의 안무창작 방법에 관한 경험적 특징. 한국무용학회지, 21(2), 41-66.
  • 오인탁(2006). 교육학 연구의 논리. 서울: 학지사.
  • 이근삼(1973). 연극개론. 서울: 범어출판사.
  • 이종려(2003). 무용의 기초.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정선혜, 백민경(2012). 무용지도자의 리더십행동과 무용만족의 관계 : 무용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무용연구, 30(3), 13-29.
  • 최상철(1996). 무용론. 서울: 청비.
  • 하예지(2008) 무용공연에 있어서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역할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19). 문화예술워원회 연차보고서. 서울: 문화예술워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