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4, pp.37-55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2
Received 31 Aug 2022 Revised 11 Oct 2022 Accepted 11 Oct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4.37

교양무용 융합교육과정, 댄씽킹(Dan-Thinking)으로 함양하는 창의력과 메디치 효과

임수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강사 suzie@snu.ac.kr
The Creativity and Medici Effects through the Cultural Dance Convergence Curriculum, ‘Dan-Thinking’
Sujin Lim*
*Instructor,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실행연구로, 대학 교양무용 강좌에서 창의력 함양을 위한 콘텐츠를 실행하고, 학습자가 ‘어떠한 교육과정’을 거쳐 창의력을 발현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에, 창의성이 왜 필요하고, 창의성 함양에 무엇이 중요한지 창의성의 개념, 과정, 결과를 연구하기 위해 댄씽킹(Dan-Thinking) 융합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산출된 결과물을 근거로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행연구는 2020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진행하였다. 파일럿 수업은 2020년 2학기에 실행하고, 본 수업연구는 2021년 1학기와 2학기 총 두 학기에 걸쳐 실행하였다. 자료는 문헌고찰, 자기보고서, 교수자의 수업일지, 학습자의 성찰일지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오늘날의 “창의는 활용”이고, 창의적 사고능력을 담당하는 전두엽을 자극시키는 교육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댄씽킹(Dan-Thinking) 융합교육과정을 통해 “생각과 감정을 형상화”함으로써 창의적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셋째, 댄씽킹(Dan-Thinking) 융합교육과정은 “사고의 도식화”를 통해 ‘세렌디피티’와 ‘메디치 효과’를 가져온다. 이 연구는 각 분야의 전공생들이 모이는 교양무용 수업에서 전공의 벽을 허물고 서로가 지닌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고안된 댄씽킹 융합교육과정을 실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증명하여 창의성 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가치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s as an action research, this study executes the contents for cultivating creativity through a ‘Dan-Thinking convergence curriculum’ in a university liberal arts dance course, and explores through which learners express creativity. Therefore, the educational effect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calculated through the Dan-Thinking convergence curriculum to study the concepts, processes, and the results of creativity, why creativity is necessary and what is important in cultivating creativity. The implementation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20 to April 2022. The pilot class was conduc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nd this class stud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two semester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1. The data analyzed literature review, self-report, instructor's class diary, and learner's reflection diary. First of all, today's "creativity is utilization" and the frontal lobe, which is responsible for creative Thinking, should be stimulated. Second, creative Thinking can be developed by "embodiment of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the Dan-Thinking convergence curriculum. Third, the Dan-Thinking convergence curriculum brings 'serendipity' and 'Medici effect' through the schematic drawing of Think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value of dance education as a creativity education by demonstrat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dance education designed to break down the walls of majors and cultivate creativity while sha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Keywords:

cultural dance, creativity, frontal lobe, Dan-Thinking convergence curriculum, Medici effect

키워드:

교양무용, 창의성, 전두엽, 댄씽킹 융합교육과정, 메디치 효과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A8043791)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20S1A5A8043791)

References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2020). R&D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 두뇌에 전구를 밝혀라!.
  • 교육부 검정교과서 초등학교 4-1 국어.
  • 교육심리학용어사전(2000). 한국교육심리학회.
  • 김수인(2018).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와 무용의 사회 공헌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76(4), 31-60.
  • 김영천(2013). 질적연구방법론 II. 아카데미프레스. 서울.
  • 민혜리, 최경애(2011). 대학의 교수-학습방법과 실천 전략. 교육과학사. 파주.
  • 박남규(2020). 창의적 사고. 한국창의성학회. 서울.
  • 서울대학교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수 모임(2018). 창의혁명. KOREA.COM. 서울.
  • 안보형(2011). 사회과 시각 예술 활용 수업이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유시현, 전미현(2006). 모티프(Motif) 이론을 활용한 어린이 창의력 교과 모형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10, 115-138.
  • 이선화(2006). 유아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모형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지, 4(1), 61-68.
  • 임수진(2015).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수-학습방법 탐색: 1학년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1(3), 99-114.
  • 임수진(2017).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예술강사 우수 수업사례 질적 분석. 한국예술연구, 17, 171-194.
  • 임수진(2022). 인문학적 소양교육을 위한 교양무용 콘텐츠 개발: 메디치 가(家)와 공자에게 배우는 창의력과 리더십. 한국무용과학회지, 39(1), 43-58.
  • 천지애(2013). ‘즐거운 생활’ 수업은 얼마나 즐거운가?: ‘즐거운 생활’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의 인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6(3), 191-203.
  • Albert, R., & Carl R. H. (1996). The Creativity Question.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N.C.
  • Barbara, Seels & Rita, Richey(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AECT).
  • David A. Kolb(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J: Pearson Education, Inc.
  • Hannaford, Carla L. (2005). Smart moves (2nd Ed). UT: Great River Books.
  • Johansson, F. (2004). The Medici Effect: Breakthrough Insights at the Intersection of Ideas, Concepts, and Cultures. 김종식(역)(2015). 메디치 효과: 당신의 머리를 창의적 발상이 넘치는 활기찬 공간으로 만드는 법. 세종서적. 서울. [https://doi.org/10.1145/1040582.1041060]
  • Smith-Autard, J.M. (2002).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 A&C Black, London.
  • Young, G.F. (1997). The Medici. 이길상(역)(2017).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파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