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3, pp.79-92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31 May 2022 Revised 30 Jun 2022 Accepted 20 Jul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3.79

무형문화재 ‘전통무용’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재고찰

김선정* ; 최해리**
*단국대학교 음악‧예술대학 무용과 교수 dance@hanmail.net
**(사)한국춤문화자료원 이사장 haereec@kakako.com
Reconsideration of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for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unjung Kim* ; Haeree Choi**
*Professor, College of Art, Department of Dance, Dankook University
**Chairperson, The Korea Dance Resource Center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무용에 대한 개념과 범주를 고찰하여 무용분야의 무형문화재 신규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문화재보호법과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의 전통무용에 대한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립하였다. 한국의 전통무용은 한국이라는 국가적, 민족적, 문화적 공동체에서 생성 및 재창조된 춤으로 한국의 민족무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무형문화재의 전통무용은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역사적인 계통을 이루며 전승된 춤으로 그 형식과 체계가 우수하여 예술적, 학술적, 대중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춤을 의미한다. 둘째, 퍼실리테이션(집단 참여 토론을 통한 의견 수집 및 종합), 전문가 심층면담, FGI(Focused Group Interview, 표적 집단면담)을 활용하여 무용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 및 분석하여 무형유산으로서의 전통무용에 대한 범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통무용의 전승 기간 인정에 대해 100년에서 70년으로 조정하는 등 수치적 완화가 필요하다. (2) 근대 이후 발생한 신무용, 한국창작춤, 신전통춤 등 전통춤에 기반한 다양한 창작춤을 전통춤으로 수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무용분야의 무형문화재 신규지정을 위해서는 문화재보호법에 대한 무용계의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며, 무형문화재 종목의 선정 기준인 전통무용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무용계의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for the new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the field of dance by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approached it from two aspects. First, the changes in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UNESCO Convention for Safegui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re examined, and through this, the concept of traditional Korean dance was established as follows. Korean traditional dance is a dance created and recreated in a national and cultural community called Korea (ROK), and can be said to be a Korean national dance.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dance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the dance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a historical lineage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and has excellent form and style, which means the dance tha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rtistic, academic, and popularly. Second, the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as an intangible heritage was consider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opinions of dance experts using facilitation (collection and synthesis of opinions through group participation discussion), in-depth interviews, and FGI (Focused Group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umerical mitigation is needed, such as adjusting the recognition of the transmission period of traditional dance from 100 years to 70 years. (2) Various creative dances based on traditional dances, such as new dances (Sinmuyong), Korean creative dances (Hanguk changjakchum), and new traditional dances (Sin-jeontongchum) that have occurred since modern times, could be considered as traditional dances. In conclusion, the new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the dance field requir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dance community's agreement on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which is the criteria for selec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Keyword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Korea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키워드:

무형문화유산, 무형문화재, 문화재보호법,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전통무용 개념, 전통무용 범주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년 문화재청의 연구과제 「‘전통무용’분야 역사문화자원 조사 용역연구」를 수행한 (사)한국춤문화자료원이 과제의 일환으로 개최했던 ‘제1차 전통춤의 전승방안 토론회: 전통무용의 개념, 범주, 분류체계’(2021년 7월 30일, 온라인)에서 주저자가 발표했던 “전통무용의 범주에 관한 고찰”을 수정 및 발전시킨 것이다. 제2장과 제3장의 연구자료는 (사)한국춤문화자료원의 2020년 문화재청의 연구과제 결과보고서 「‘전통무용’ 분야 종목 전국 자원 조사를 위한 예비연구」에 근간을 두고 있다.

This dissertation is revised and developed from “The Study on the Categories of Traditional Dance", presented by the lead author at "The 1st Traditional Dance Transmission Plan Discussion: its Concepts, Categories, Classification System" (July 30th, 2021, Online), which is held by the Korea Dance Resource Center, that conducted research called “The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Research Service in the Field of Traditional Dance”, in 2021.

References

  •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1989).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12: 승무‧살풀이춤(경남‧북편).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 김선영(2004). 국가지정 무형문화재 보존 전승 정책 및 현황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선영(2007). 시·도지정 무형문화재 제도의 운영방안: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박 미(2018). 무형문화재 원형과 전형에 대한 고찰. 무형유산학회지. 3(1), 7-27.
  • 박 미(2021). 무형문화재 무용의 전형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 백제화(2005). 한국전통무용가들이 인식하는 춤의 특징에 관한 철학적 연구. 우리춤과과학기술. 1, 183-201.
  • 서문현(2017). 시·도지정 무형문화재 <무용부문> 운영 현황에 따른 발전 방안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사)한국춤문화자료원(2020). ‘전통무용’ 분야 종목 전국 자원 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세종시: 문화재청.
  • 송미숙, 윤혜미(2012).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전통무용 전승환경 연구. 한국무용연구학. 37, 9-120.
  • 신민서(2020). 전통무용의 저작권 보호와 한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이미희, 김운미(2016). 국가무형문화재 무용분야 보존을 위한 과학적 대안. 우리춤과과학기술. 34, 9-39.
  • 이승주, 공상희(2018). 국가무형문화재 범주 운용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문화정책논총. 32(3), 59-81.
  • 이하나(2013).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1948~1968). 서울: 푸른역사.
  • 임수경(2014). 민족의 얼, 이북5도 무형문화재. 서울: 임수경의원연구실.
  • 정상우(2009). 무형문화재 보호의 기본원칙과 법제과제. 법제연구. 36, 407-436.
  • 장수민(2017). 국가무형문화재의 지정 및 전승 고찰: 전통춤 분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정인호(2014). 한국 전통춤 사위 용어의 특성 및 표준화 탐색: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춤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재만(1993). 전통무용기법 분석에 관한 연구: 한영숙류 살풀이 춤사위 분석을 중심으로. 숙명여대논문집. 34, 423-446.
  • 허 영(2008). 한국헌법론. 서울: 박영사.
  • 황주희(2004). 전통무용 원형보존에 의한 문제점과 제도적 수용방안 연구(살풀이, 승무, 태평무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황희정(2017). 전통춤의 창조적 계승과 무형문화재 제도의 양립 가능성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46, 37-53..

<기타>

  •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 확정. (2009.9.30.). 보도자료. 문화재청.
  • 무형문화재법 독립...“유네스코에 맞게 손질”. (2015.03.04.). 서울신문. (검색일자: 2022.04.02.).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304800049, .
  • 문화재 보존 및 진흥에 관한 법률(약칭: 무형문화재법). (2016, 2018, 2020). 문화재청.
  • 승무, 태평무, 살풀이춤...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예고. (2019.9.6.). 보도자료.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