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1, pp.43-58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2
Received 29 Oct 2021 Revised 06 Jan 2022 Accepted 20 Jan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1.43

인문학적 소양교육을 위한 교양무용 콘텐츠 개발: 메디치 가(家)와 공자에게 배우는 창의력과 리더십

임수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강사 suzie@snu.ac.kr
Development of Liberal Arts Dance Content for Humanities Education: Creativity and Leadership to Learn from the Medici and Confucius
Sujin Lim*
*Instructor,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인문학과 무용을 통합한 융합적 소양함양을 위한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대학 교양교육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실천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문헌연구, 자기보고서, 전문가 회의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문헌고찰은 동양의 고전인 ‘논어’와 서양의 고전인 ‘메디치 가(家) 이야기’를 통해 창의력과 리더십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관 및 세계관 형성을 위한 인문학과 무용의 공통 요소로 ‘신뢰, 배움, 예의, 향유’가 도출되었다. 둘째, 창의력 함양을 위한 공통 요소로 ‘자유로운 사고, 통찰력, 다방면의 체험’을 이끌어내었다. 셋째, 리더십 함양을 위한 공통 요소로는 ‘배려, 양보, 책임’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문학적 소양교육을 위한 교양무용은 내용적으로는 ‘학제 간 통합’을, 방법론적으로는 ‘예술적 체험교육’으로 고안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인문학과 무용이 통합된 교육콘텐츠는 융합교육과 소양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실천적 지표가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for convergent literacy by integrating humanities and dance, and to propose practical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or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self-report, and expert meeting data were used.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the contents of creativity and leadership through the story of the Eastern classic, that is,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Western classic, “Medici famil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ust, learning, courtesy, and enjoyment' were derived as common elements of humanities and dance to form a human view and a world view. Second, 'free thinking, insight, and various experiences' were drawn as common elements for fostering creativity. Third, 'care, concession, and responsibility' could be derived as common factors for leadership cultivation. In conclusion, liberal arts dance for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was designed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in content and 'artistic experiential education' in methodology.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integrates humanities and dance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 practical indicator for implementing convergence education and literacy education.

Keywords:

humanities, creativity, leadership, experiential education, liberal arts dance education contents

키워드:

인문학, 창의성, 리더십, 체험교육, 교양무용 교육콘텐츠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092322)

References

  • 강지영, 소경희(2011).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아시아교육, 12(3), pp. 197-224.
  • 고병헌(2007). 홀리스틱교육 패러다임의 교육적 · 시대적 의미 고찰. 한국홀리스틱교육연구 11(1), PP. 1-21.
  • 김지현(2012). 대학 우등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특징과 의의. 교양교육연구, 6(3), pp. 49-122.
  • 나가오 다케시(유가영 역)(2010). 논어의 말. 삼호미디어 출판사. 서울.
  • 민혜리, 최경애(2011). 대학의 교수·학습방법과 실천 전략. 교육과학사. 파주.
  • 박남규(2020). 창의적 사고. 한국창의성학회. 서울.
  • 박철홍, 윤영순(2007). 듀이의 경험론에서 본 지식의 총체성과 탐구의 성격: 메논의 패러독스 해소방안. 교육철학, 38, 85-111.
  • 서예원(1998). 대학 교양무용 교육과정 요구 및 실태조사. 한국체육교육학회, 3, 175-191.
  • 심상용(2014). 위기의 미술대학: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가르치는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Visual 11, 58-73.
  • 이상엽(2017). 니체와 대학 교육의 목적. 대동철학회논문집『大同哲學』제79집(2017. 6).
  • 윤상아(2021). 초등수업에서 신체움직임은 어떻게 통합되는가? - 움직임통합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 윤지은(2012). 한국 고등 교양교육과정에서 무용수업의 효과적인 통합방안. 한국무용기록학회, 27, 49-66.
  • 윤지은(2014). 예술춤에 대한 인식조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 171-191.
  • 윤지은(2016). 예술춤 활성화를 위한 교양무용교육의 효율적 방안: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지, 40, 247-269.
  • 임수진(2019). 무용 소양 수준의 유형화 연구. 한국무용학회지, 19(4), pp. 77-86.
  • 임수진, 김석희(2019). 대학 교양체육의 역할과 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양체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8(6), pp. 151-164.
  • 임수진, 김수연(2018). 대학교양 교육과정 개발의 융합적 접근: 소매틱스(Somatics)에 기반한 체육교양강좌 사례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7(3), pp/ 117-133.
  • 임수진, 문영(2016). 대학 교양 우수강좌 사례연구: 무용강좌 교과과정과 교수법의 특징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3), 133-156.
  • 임수진, 문영(2021).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대학 교양강좌에의 적용 및 효과 탐색.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9(1), pp. 173-190.
  • 장연숙(2005). 고등학생의 교육선택권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의견 분석.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홍애령, 임수진(2013). 창작, 토론, 비평을 활용한 에어로빅 가르치기.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 21-42.
  • Barbara, Seels & Rita, Richey(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AECT).
  • David A Kolb(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J: Pearson Education, Inc.
  •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Y: Macmillan. 이홍우(역)(2018).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파주.
  •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NY: Perigee Books. 박철홍(역)(2016). 경험으로서 예술2. 나남. 파주.
  • G.F. Young(1997). The Medici. 이길상(역)(2017).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파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