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8, No. 4, pp.59-75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1
Received 31 Aug 2021 Revised 01 Oct 2021 Accepted 19 Oct 2021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1.38.4.59

무용전공생들의 필라테스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혜민* ; 조남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박사과정 hyemin_00@hanmail.net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교수 cng1222@hanmail.net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the Pilates by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e Min Lee* ; Nam Gyu Cho**
*Ph.D. student,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gmyung University hyemin_00@hanmail.net
**Professor,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gmyung University cng1222@hanmail.net


CopyrightⒸ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건강한 삶을 위해 시간과 물질을 투자하고 있다. 건강은 가장 중요한 자산이며, 모든 삶의 기초이기 때문이다.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유지하는 것은 외부환경과 다양한 변화에 잘 적응하며, 각 자 필요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몸과 마음을 조화롭게 움직이려는 의지를 통해 춤을 배우는 무용전공생들은 그 누구보다 몸을 이해하고, 그 움직임의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몸과 마음의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무용전공생들은 신체의 혹독한 훈련과 잘못된 사용으로 신체 상해에 노출되어 있으며, 다양한 외부적 환경 요인과 특수한 상황 속에서 심리적으로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무용전공생들의 신체에 도움을 주는 바디 컨디셔닝과 심리적 영역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충적 운동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무용전공생들에게 필라테스 운동을 제안하며 필라테스 체험을 통한 변화를 현상학적 입장에서 분석하여 필라테스의 본질적 특성과 가치를 발견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필라테스 체험을 통한 나의 몸’, ‘필라테스 참여의 의미’, ‘필라테스 체험을 통한 회복’ 이라는 경험을 기술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지각과 변화, 의미, 회복 등의 주관적인 인식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It is known that more people are spending their time and money on a healthy life than any other period. A good life includes a healthy body and mind as important resources. Maintaining a healthy body and mind often means that people successfully adjust themselves to continuous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s and maximize their capability for performing their various tasks. In particular, it is crucial for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cognize their own bodies and movements phenomenologically and to keep their bodies and minds with good care because they learn dances by harmonizing their bodies and minds. Most dangers, however, are exposed to harsh training and bodily abuses, which sometimes end up with injuries. Furthermore, they often tend to present psychologically negative responses toward their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and particular situations. Therefore, dancers must be provided supplemental exercises to help them in bodily condition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 suggest Pilates as an exercise solution, and I want to discover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Pilates by analyzing in terms of phenomenologic methodology through dancers’ experience with Pilates. Consequently, this study clarifies participants’ subjective cognitions, their changes, meanings, and recoveries by describing ‘my body through the experience of Pilates,’ ‘participation in Pilates lessons and its meaning,’ ‘physical and mental recoveries through Pilates.’

Keywords:

Students Majoring in Dance, Pilates, Experience, Phenomenology

키워드:

무용전공생, 필라테스, 체험, 현상학

References

  • 강미라(2011). 몸 주체 권력, 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서울: 이학사.
  • 고경희, 성재형(2009). 몸과 정신의 조화, 필라테스. 한국체육철학학회지, 17(2), 29-42.
  • 권욱동(2002). 스포츠를 통한 몸의 주체성 회복. 한국체육철학학회지, 10(1), 133-150.
  • 김윤희(2004). 신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 한국체육철학학회지, 12(2), 251-266.
  • 류의근(2019).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 서울: 세창.
  • 문재원(2009). 필라테스 운동이 현대무용 전공자의 근력 강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수진(2013). 필라테스(Pilates) 코어강화운동이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자기지각과 무용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송은주(2004). Giddens의 구조화 이론에서 본 무용수의 몸만들기 문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신현군(1992). 동·서 체육의 문화적 전용과정. 서울: 한국체육학회.
  • 오은영(2012). 스포츠 경기력 향상과 부상예방을 위한 필라테스 훈련. 스포츠과학, 118, 36-41.
  • 이경아(2008). 필라테스가 한국무용 전공자에게 미치는 요인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이동재, 장덕선(1999). 최상 스포츠 수행의 긍정적 경험. 한국체육학회, 38(2), 329-345.
  • 이소라(2015). 필라테스 운동이 무용수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 : 허리디스크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이수민(2015). 발레전공자의 필라테스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 이주희, 박순자, 장혜림(2017). 예술고둥학교 무용전공생의 골반변위 및 무용상해에 대한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13(2), 53-70.
  • 임준희(2018). 전문무용수를 위한 필라테스 연구 현황분석. 대한무용학회, 76(2), 165-180.
  • 장정윤(2005). 무용하는 신체, 세계 속의 신체. 서울: 교학연구사.
  • 정지영(2001). 무용 상해의 예방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광제(2005).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서울: 이학사.
  • 조기숙(2017). 날고 싶은 인간의 욕망, 발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조은정(1997). 무용전공과 경력이 척추변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정희(2014). 무용수의‘몸 주체성’인식에 기반 한 작품분석: Walk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한미진(2021). 기구 필라테스 리포머 코어운동이 무용전공생들의 신체지각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한혜주(2016). 무용작품 「순례」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황경숙(2011). 몸의 호흡: 필라테스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19(3), 175-188.
  • Angrosind, M. V.(2007). Doing ethnographic and observational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https://doi.org/10.4135/9781849208932]
  • Brennan, R.(2012). 자세를 바꾸면 인생이 바뀐다. 최현묵, 백희숙 공역. 서울: 물병자리.
  • Denzin, N. K.(1970).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McGraw-Hill.
  • Dufour-Kowalska Gabrielle(2003). Michel Henry passsion et magnificence de la vie, Beauchesne, Paris, 47.
  • Foucault, Michel(1975). Surveiller et punir: naissance de la prison, Paris: Gallimard, 138, 157.
  • Fraleigh, S, H.(1987). Dance and the lived body, Eurospan: London, 8-15.
  • Prudhommeau, G.(1995). 무용의 역사Ⅰ, 양선희 역. 서울: 삼신각.
  • Goetz, J. P. & LeCompte, M. D.(1984). The constitution of societ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Haas, J. G.(2011). Dance Anatomy. 제임스 전, 오재근, 김현남, 이종하, 장지훈, 황향희 공역. 서울: 푸른솔.
  • J. Kirk, and Mar L. Miller.(1986).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https://doi.org/10.4135/9781412985659]
  • Junghee Kallander(2005). Pilates Method가 무용수의 인지양식 및 신체지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Merleau-Ponty, M.(1945).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 Moustakas, C.(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https://doi.org/10.4135/9781412995658]
  • Van Manen, M.(1994).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신경림, 안규남 공역. 서울: 동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