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8, No. 2, pp.29-4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1
Received 02 Mar 2021 Revised 30 Mar 2021 Accepted 30 Mar 2021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1.38.2.29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경험 연구

김예진* ; 윤혜선**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강사 nana1729@dongduk.ac.kr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교신저자 art@dongduk.ac.kr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 Dance Major on Field Placement Course for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Yehjin Kim* ; Hye-Sun Yoon**
*Instructor, Department of Dance, College of Performing Arts, Dongduk Women's Univ.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College of Performing Arts, Dongduk Women's Univ.


CopyrightⒸ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인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수업을 중심으로 무용 전공자의 현장실습 경험과정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현장실습 운영체계의 질적 개선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맥락적 학습모형 이론을 토대로 구성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맥락적 학습모형의 분류방법인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물리적 맥락’을 분류기준으로 적용하였고, 개방형 설문과 인터뷰 녹취자료를 취합하여 전문가 집단의 회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첫째, ‘개인적 맥락’의 세부요소인 ‘기대와 동기’, ‘선행지식의 흥미, 신념’, ‘선택과 조절’ 에 대한 경험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사회문화적 맥락’의 세부요소인 ‘집단 내에서의 사회문화적 중재’, ‘타인에 의해 촉진된 중재’에 대한 경험과정을 분석하였다. 셋째, ‘물리적 맥락’의 세부요소인 ‘선행 조직자들과 오리엔테이션’, ‘이벤트 및 체험의 강화’에 대한 경험과정을 분석하였다. 넷째, 무용전공자의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경험분석을 통한 개선점을 모색하기 위해 맥락적 학습모형의 세 가지 맥락별 경험분석의 과정에서 도출된 맥락간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문제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기관선정 및 관리의 문제’, ‘실습시간 운영구조의 문제’,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을 위한 교과과정 연계성의 문제’로 분석되어 각각의 개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수업의 체계적인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는 교수자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운영체계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on field practice oper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meaning of field practice experience process of dance major based on a class named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Field Art and Culture Education'—the curriculum for train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For the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via asking open-type inquiries constructed based upon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theory. Further for the measurement method, classification method of contextual learning model, including 'personal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and 'physical context', is applied as classification criteria. Also, the open-type surveys and interview recording data are collected and are analyzed through the meeting of expert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process on the detailed elements of ‘personal context’, which are 'expectation and motivation', 'interest and belief behalf of prior knowledge', and 'selection and control', are analyzed; Second, the detailed elements of ‘sociocultural context’, or the experience process on 'sociocultural interventions within groups' and 'interventions promoted by others', are analyzed; Third, the detailed elements of 'physical context', or the experience process on 'prior organizers and orientation' and 'event and experience strengthening', are analyzed; Fourth, in order to search the points to improve through analysis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a dance major, the analyzed result upon the problem that intervenes the interaction between contexts derived from three types of coherent experience analyzing process on contextual learning model for the following improving methods for each is suggested: ‘the problem of selection of an institution and the management', 'the problem of the operation structure of practice hours', and 'the problem of linking the curriculum with field placement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tilized as useful data for the professors and reser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ho are striving to build systematized learning environment of field practice class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nd further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field placement operation system for art and culture education.

Keywords: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field placement, dance major, contextual model of learning, experience research

키워드: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무용전공자, 맥락적 학습모형, 경험 연구

References

  • 강인애, 설연경(2009).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학습이론으로서 ‘전시물기반 학습’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33, 1-38.
  • 강인애, 이현민, 김양수(2015). 온라인 박물관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수업사례 : 맥락적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56, 1-34.
  • 권남희, 조희선, 최재영(2017).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중 현장실습 참여자의 체험연구 : 미술 분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2(5), 55-82.
  • 권영임, 차수정(2015).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가치와 발전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601-617.
  • 김민정(2017). 문화예술교육사 연수 여부에 따른 무용교육이론 및 무용지도 능력 비교 연구. 한국무용학회지, 17(1), 23-31.
  • 김민주(2016). 드라마 활동을 통한 초등 5-6학년의 맥락적 음악 감상 학습 방안. 한국교육연극학회, 8(2), 1-24.
  • 김선영(2017). 맥락적 학습모형에 의한 어린이 관람객의 박물관 학습경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김수진, 오율자(2017).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현황 조사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4), 19-27.
  • 김이훈(2013). 맥락적 학습모형을 활용한 미술관 교육활동지 개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민성훈(2017). 박물관 모바일 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난 맥락적 학습모형(Contextual Model of Learning)의 요소 분석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어린이체험전시실 사례를 중심으로. 박물관교육연구. 17, 111-130.
  • 박경선, 나일주(2011).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맥락설계 원리 및 모형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1), 1-37.
  • 박지숙(2009). 무용전공생의 교사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무용기록학회. 16, 25-51.
  • 박연희(2012). 박물관 교육의 국제적 동향 : 관람객의 학습을 위한 ‘맥락적 접근’과 ‘참여적 접근’ 탐구. 동원학술논문집, 17, 99-113.
  • 서예원(2007). 실제적, 맥락적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초등교사의 역할 : 4학년 과학과 “에너지” 단원의 교수전략 및 학습자료활용. 한국초등교육학회, 20(2), 75-111.
  • 윤혜선, 김예진(2019). 표현예술상담 수업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경험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6(2), 61-78.
  • 조우리(2015). 맥락적 학습 요소에 따른 구성주의적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효과 분석 연구 : 제주 돌문화공원 교육프로그램 사례.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희선, 권남희, 최재영(2018).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운영 체계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3(5), 87-108.
  • 탁지현(2018).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질적 개선 방안 모색 : 무용 분야의 교육과정 및 취업연계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3), 217-235.
  • 차은주(2018). 문화예술교육사(Teaching Artist)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전략 :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569-588.
  • 최웅아(2016).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홍서현(2020).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홍애령, 박재근(2018). 대학 무용학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체계적 학습모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51-65.
  • 홍애령, 임수진(2020).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현황 분석 및 문화예술교육사 직무역량의 개념화. 한국무용과학회지, 37(2), 59-72.
  • Falk, J. H. & Dierking, L. D. (2007). 박물관교육의 기본. (노용, 이주연, 류지영 공역). 미진사.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