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4, pp.67-81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31 Aug 2020 Revised 25 Sep 2020 Accepted 25 Sep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4.67

과학에서 예술로의 이행(移行): 지구과학과 무용의 융합수업 모델

임수진*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강사 suzie@snu.ac.kr
A Scientific Approach to the Arts: Convergence Class Model of Earth Science and Dance
Sujin Lim*
*Instructor,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이 지향하는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융합적 지식을 함양할 수 있는 무용 융합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마이크로티칭 수업에 적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내용분석, 마이크로티칭 수업 구현,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념 이해 단계(Concept), 모델 구성 단계(Generation), 창작 단계(Creation), 시연 단계(Performance), 발표 단계(Announcement) 등으로 구성된 ‘CGCPA 5단계’ 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CGCPA 5단계’ 융합 교육과정을 적용한 마이크로티칭의 융합수업을 통해 과학소양(scientific literacy)과 무용소양(dance literacy)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CGCPA 5단계’ 융합 교육과정에서는 범교과의 학습주제를 통해 과학, 논리, 문학, 언어, 무용, 음악, 창의, 소통 등 다양한 학습방법과 인문적 교육활동이 융합된 교육의 통합성을 실천할 수 있다. 과학적 내용을 움직임으로, 음악적으로, 서사적으로, 그리고 문학적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고, 삶에서의 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안목과 융합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과 예술, 두 분야의 문헌을 바탕으로 융합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마이크로티칭에서 구현하여 실현가능성을 확인한 과학과 무용의 융합수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ance convergence class model that can cultivate convergent knowledge such a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 etc. which STEAM is aiming for and apply it to micro-teaching classes to seek its educational effect. For data collection, literature review, micro-teaching class implementation,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us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GCPA Step 5' convergence curriculum was developed, consisting of Concept, Generation, Creation, Performance, and Announce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rgence class of micro-teaching applied the 'CGCPA Step 5' convergence curriculum can foster both scientific literacy and dance literacy at the same time. Third, the "CGCPA Step 5" convergence curriculum was able to practice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with various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science, logic, literature, language, dance, music,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subject of learning in the pan-school department. By expressing scientific content musically, narratives, and literature, one can enhance the learn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and foster the insight and convergence thinking necessary to understand scientific phenomena in lif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cience and dance convergence class that has developed a convergence class model based on literature in two fields, science and art, and has been implemented in microteaching to confirm feasibility.

Keywords: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Earth science, CGCPA Step 5 convergence curriculum, Microteaching, Scientific approach

키워드:

과학과 예술의 융합, 지구과학, CGCPA 5단계 융합 교육과정, 마이크로티칭, 이행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 제11회 한국무용학회 연차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연구를 수정 및 보완하였음.This work h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research published at the 11th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Dance.

References

  • 교육부(2017).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과학교과서.
  • 교학사(2015). 운동과 건강생활. 고등학교 교과서.
  • 권선영(2017). 춤으로 행복해지기: 성인의 무용향유 체험방식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4(2), 53-67.
  • 김기진(2001). 무용교육의 과학화를 위한 학문적 기저와 연구과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2(1).
  • 김은정(2016).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구분에 따른 과학사와 무용사의 연관성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 김은희(2017). 실생활 맥락에서의 관찰을 강조한 STEAM 과학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 김정효, 안도 쿄우이치로(2013).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미술교육학회, 27(1), 123-152.
  • 김형숙(2005). 무용의 과학화를 위한 학문적 과제와 전망. 한국무용과학회지, 11, 99-104.
  • 박재홍, 홍애령(2019). 발레 역량(Ballet Competency)의 개념화를 위한 체계적 문헌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6(4), 67-79.
  • 박혜리, 박상균(2015). 자연과학분야: 발레 정적동작의 전문가 평가와 운동역학적 변인의 연관성. 한국무용과학회지, 32(1), 283-294.
  • 서울대학교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수모임(2018). 창의혁명. KOREA.COM
  • 신상미, 김재리(2010). 몸과 움직임 읽기: 라반 움직임 분석의 이론과 실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오동주, 황홍섭(2020).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초등사회과를 사례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지, 59(1), 93-119.
  • 이금용(2010). 무용에 대한 운동역학의 연구 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2.
  • 이기운(2019).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교육의 길을 열다. <스포츠 서울>. 2019.08.07.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802114, .
  • 임수진(2015).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수-학습 방법 탐색: 1학년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1(3), 99-114.
  • 임수진(2017a). 과학과 예술의 융합수업 모델: 지구과학과 무용의 콘텐츠 설계를 위한 융합 교육과정. 2017 제11회 한국무용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53-62.
  • 임수진(2017b). 무용 융합교육의 방향성 탐색: 자연과학을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지, 17(2), 33-42.
  • 임승희(1998). 발레의 데벨로뻬 에꺄르떼 데리에르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정선호, 정주영(2015). P대학의 마이크로티칭 분석을 통한 수업효과성분석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구, 9(4), 281-314.
  • 정선영(2008). 무용활동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경남.
  • 조준희(2020). 발레 동작 Grand Battement Devant의 최상수행을 위한 발끝 선속도, 고관절 각속도, 지면반력, 신체중심의 관계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7(1), 19-27.
  • 최우리(2020). 왜 ‘기후변화교육’인가? 미래 위기엔 전환적 사고 필요. <한겨레신문>. 2020.06.19.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49983.html, .
  • 최은용(2010). 턴아웃이 발레 동작의 고관절 움직임 범위에서 가지는 기능적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1(2), 153-168.
  • Albert Rothenberg & Carl R. Hausman(1996). The Creative Question. Duke University Press.
  • Baer, J.(1997). Creative Teachers, Creative Students. Allyn & Bacon.
  • Clement, J. (2008). Learning via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pp. 341-381). Springer US. [https://doi.org/10.1007/978-1-4757-5356-1_20]
  • Dils, A. H. (2007). Moving into dance: Dance appreciation as dance literacy. In L. Bresler(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Arts Education, Part1(pp. 569-580). Dordrecht: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1-4020-3052-9_37]
  • Hannaford, D. (2005). Smart moves (2nd Ed). Great River Books.
  • Rea-Ramirez, M. A. C., & Nunez-Oviedo, M. C. (2008). An instructional model derived from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theory. In J. J. Clement, & M. A. Rea-Ramirez(Eds.)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pp. 203-243),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1-4020-6494-4_2]
  • Smith-Autard, J. M. (2002).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 (2nd Ed). London: A & C Bl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