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3, pp.35-4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20
Received 12 May 2020 Revised 09 Jul 2020 Accepted 16 Jul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3.35

무용 전공자의 경력에 따른 무용 품성과 정서의 관계

이동숙*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 주임교수 anatis1@hanmail.net
Relationship Between Dance Character and Emo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a Dance major
Dongsook Lee*
*Prefessor, Center for Future Education, Sejong University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용 전공자의 경력에 따른 무용 품성이 무용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215명의 한국무용, 발레 및 현대무용 전공 연구대상을 표집 하여, 무용 품성과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여기에서 확보된 자료를 기초로 다변량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10년 이상의 무용 경력을 가진 대상이 인내와 창의성 및 감수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무용 정서 지능 요인 중 자기정서인식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년 이상의 높은 경력 집단은 인내와 감수성이 자기정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년에서 10년 사이의 경력을 가진 집단은 정서활용과 정서표현에 인내와 창의성이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집단은 타인정서인식에서 인내가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에 따라 무용 품성이 무용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을 통해 인간의 품성을 발달시킬 수 있고, 이에 정서적 활용 능력을 담보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dance character on dance emo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a dance major. In response, 215 subjects of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majors were select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dance characteristics and on-time intelligence. Therefore, the results were calculated based on data analysis based on the data obtained herein. The analysis confirmed that subjec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dance experience have high patience, creativity and sensitivity, and that self-consciousness among dance emotional intelligence factors is highly perceived. It also showed that patience and sensitivity affect self-emotional awareness in group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hile those with five to 10 years of experience influence patience and creativity in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respectively. Finally, group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patience in other people's emotional recognition, with different effects of dance character on dance emotion intelligence depending on their career.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expectation that dance can develop human character and thus guarantee emotional utilization.

Keywords:

dance major, career, dance character, dance emotion

키워드:

무용전공자, 경력, 무용품성, 무용정서

References

  •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2008).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 30, 1-38.
  • 고문수(2013).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체육 품성 교육의 이해. 교육논총, 33, 211-226.
  • 공연희(2002). 민속무용이 체력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김미선(2015). 품성교육을 적용한 성경적 상담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개신대학원대학교
  • 김송자(2002). 부모의 양육태도 및 정서표현성과 자녀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 김숙자(2007).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및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 김영선(2001). 창작무용학습 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화숙(2010). 무용과 정서 지능 관계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1(2), 1-22.
  • 류가연(2013). 무용수의 정서 지능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28. 41-63
  • 민홍근(2019). 유소년 축구클럽 활동을 통한 스포츠품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박리나(2014).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유아품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박성민(2009). 품성계발 집단상담이 시설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소영(2010). 아동의 무용 정서 지능 검사를 위한 척도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배은주, 유병인, 이경훈(2000). 무용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감성지능 비교 연구.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8(2), 83-103.
  • 서미숙(2006). 정서지능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정서지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소수연, 성벼리, 문소희(2015). 초등학생 품성교육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1(4), 425-449.
  • 신유진(2012). 무용전공자의 정서 지능과 몰입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성창훈(2006). 건강운동 실천을 위한 개인과 집단차원의 심리적 중재전략 개발 및 상대적 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7(2), 127-145.
  • 엄혁주(2012). 스포츠 품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엄혁주, 성창훈(2012). 발달적 스포츠 품성의 개념화 및 측정 모형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51(6). 141-152.
  • 엄혁주, 최영준, 문익수(2013). 스포츠 품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1), 81-95.
  • 오경란(2020). 태권도 수련 품성과 라이프 스킬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오보선, 유진(2011). 무용 정서 지능이 웰빙과 무용연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0(4), 347-355.
  • 유진, 오보선(2009). 무용 정서 지능 측정도구 개발. 대한무용학회, 60, 224-234.
  • 이경님(2019).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부모-교사 협력관계 및 보육효능감이 영어교사의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11(3), 65-84.
  • 이동숙, 최현주(2018). 공연정서에 대응하는 정서지능의 역할 탐색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831-844.
  • 이동숙, 최현주(2019). 발달적 차이를 기반으로 하는 무용 정서지능과 무용 열정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8(3). 511-523.
  • 이동숙(2020). 무용전공자의 정서 지능과 몰입의 관계에서 조절 초점의 매개 역할 검증. 한국무용과학회지. 37(1). 37-52.
  • 이미숙(2008).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서훈(2009). 무용교육이 여고생의 사회성 및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선영(2014). 무용수행을 통한 예술적 품성의 개념화 및 측정모형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선영(2015). 무용전공고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중요 품성요인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6(4), 157-173.
  • 이정의(2008). 품성계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현옥(2005). 중학교 인성교육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희자(2000). 무용과 정서 지능의 하위요인별 분석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1(1), 125-138.
  • 조은지(2017). 중학생 인성 강화를 위한 미디어 활용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 최덕묵(2013). 테니스 학생선수의 스포츠 품성과 운동정서, 운동수행 만족 분석을 통한 향후 정책방향. 한국체육정책학회지, 27, 105-118.
  • 허진영, 권형수(2009).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자아실현과의 관계 이해.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8(58), 315-335.
  • 홍석영(2013). 인성 개념 및 인성의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고찰. 중등교육연구, 25, 183-198.
  • Seligman, M. E. P.(2002).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김인자 역(2009). 긍정 심리학. 서울: 물푸래
  • Goleman, D(1995). Emotion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Green, S. B., & Thompson, M. S. (200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linical research. In M. C. Roberts & S. S. Illardi (Eds.), Methods of research in clinical psychology: A handbook 138-175. London: Blackwell.
  •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03-619. [https://doi.org/10.1521/jscp.23.5.603.50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