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2, pp.59-72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0
Received 27 Feb 2020 Revised 09 Apr 2020 Accepted 09 Apr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2.59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현황 분석 및 문화예술교육사 직무역량의 개념화

홍애령** ; 임수진***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전임연구교수 innodance@naver.com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강사 suzie@snu.ac.kr
Conceptualization of the Job Competency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raining for Pre-service ACEI
Aeryung Hong** ; Sujin Lim***
**Sangmyung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양성 현황을 파악하고, 예비 및 현직 문화예술교육사가 인식한 직무역량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내용분석, 심층면담 및 핵심집단토의(FGD)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 2급 문화예술교육사 지정교육기관은 8개가 운영되고 있지만, 각 지정교육기관의 지정기간이 가변적이고, 교육과정 교과목의 개설여부도 예술영역별로 다르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은 “학교 및 지역사회, 공공영역 및 민간영역의 문화기반 시설에서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진행⋅분석⋅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은 기획역량, 운영역량, 분석역량, 평가역량, 교수역량 등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를 이론적 수준에서 규명하고 이를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와 현직 문화예술교육사의 의견을 통해 재규명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와 직무역량의 개념 및 하위요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raining for pre-servi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job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contents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discussion were us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urrently eight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Ⅱ-ACEI. However, each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designation period is variable. Also, the period of designation of each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 is variable, and whether or not the curriculum subjects will be opened varies depending on the art area. Second, the concept of job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ACEI are defined as “the ability to plan, implement, analyze, evaluate and instruct matters related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a culture-based facility in schools, communitie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ird, job 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planning competency, managerial competency, analytical competency, evaluation competency, and instructional competenc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concepts and sub-components of the duties and the job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by clarifying the dutie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ACEI.

Keywords: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Job, Professionalism, Job competency, Seoul agenda

키워드:

문화예술교육사, 직무, 전문성, 직무역량, 서울어젠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이 논문은 2019 한국무용과학회 제41회 추계학술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연구임.

References

  • 강성룡, 이경화(2012).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과 창의성. 창의력교육연구, 12(3), 5-27.
  • 강익모(201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인증을 위한 사이버대학 교육과정의 질관리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1), 197-213.
  •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
  • 권영임, 차수정(2015).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가치와 발전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601-617.
  • 권정숙(2013).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8(3), 203-228.
  • 김선아, 최은식, 김미남, 이효광(2015). 개정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교수요목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김은영(2014). 이론과 현장이 살아있는 문화예술교육. 서울: 학이시습
  • 김인설, 박칠순, 조효정(2014). 예술가인가 교육가인가?: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화경제연구, 17(2), 185-216.
  • 김재웅(2016).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에듀케이터로서의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5), 235-258.
  • 김정효(2012).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문화예술교육연구, 7(1), 175-200.
  • 문화예술교육사(2019.11.22.). 1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계획 안내. https://acei.arte.or.kr/board/noticeInfo.do.
  • 문화예술교육사(2019.11.26.). 2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교부 현황(2019년 제2차 기준). https://acei.arte.or.kr/board/dataInfo.do
  • 문화예술교육사. https://acei.arte.or.kr, /.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문화예술교육사 날개를 펼쳐라: 새로운 진로와 직업을 탐색하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민경숙(2013). 홀리스틱 예술통합교육과 교육과정.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1), 87-128.
  • 박소연, 임채홍, 박상현, 이주연, 김서용, 홍성만(2013).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평가 준거 개발. 조형교육, (46), 99-120.
  • 박유신(2017).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조형교육, (62), 99.123.
  • 백순근, 길혜지, 박경인(2012).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중등교사 교수역량 척도의 하위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 분석. 교육평가연구, 25(3), 389-409.
  • 아르떼365. http://arte365.kr
  • 양현미, 박은영, 전효관, 정은희, 홍진표(2004).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이기성, 강성룡, 김기혁, 서혜란(2010).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핵심역량모델 구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이주연(2015).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착을 위한 프로그램 체계화 방안-미술 및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41, 57-81.
  • 이창준, 강성룡, 이상아, 정수경(2009). 역량기반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임수진, 문영(2017a). 대학교양 무용강좌의 정서적 함의에 대한 성찰적 연구: 댄스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의 관련성 탐색.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1), 213-232.
  • 임수진, 문영(2017b).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예술강사 우수 수업사례 질적 분석. 한국예술연구, 17, 171-194.
  • 임학순 외(2011).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도입 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임학순, 선걸(2012).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제도 도입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개발방향 모색.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 6, 169-192.
  • 최보연, 유지연(2019) 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의 인적자원 양성 및 활용방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연극학, 11(2), 49-73.
  • 최종호(2013). 문화재교육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자질과 역량,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박물관학보, (24), 79-100.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예술과 교육의 징검다리, 문화예술교육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8).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길라잡이 홍보 브로슈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홍애령(2015). 문화예술교육 무용교육자의 전문성 요소로서 무용소양(Dance Literacy)의 함양과정 탐색. 무용역사기록학, (37), 195-219.
  • 홍애령(2019). 홀리스틱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무용 분야 전문인력의 전문성 영역 및 직무 탐색.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3(1), 105-123.
  • 홍애령, 박재홍(2018).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적 관점과 향유적 관점: 문화복지에서 문화공유로의 전환.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81-95.
  • Booth, E. (2003). Seeking definition: What is a teaching artist? Teaching Artist Journal, 1(1), 5-12. [https://doi.org/10.1080/15411796.2003.9684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