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6, No. 4, pp.67-79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9
Received 06 Sep 2019 Revised 08 Oct 2019 Accepted 19 Oct 2019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9.36.4.67

발레 역량(Ballet Competency)의 개념화를 위한 체계적 문헌분석

박재홍 ; 홍애령**
한성대학교
상명대학교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Ballet Competency
Park, Jae-Hong ; Hong, Ae-Ryung**
Hansung Univ.
Sangmyung Univ.

Correspondence to: ** innodance@naver.com

CopyrightⒸ 2019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발레 무용수 및 학생의 교육, 선발, 전문성 개발을 위한 기초개념으로서 발레 역량에 대한 이론적 개념화를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무용 대중화의 선두 장르로 여겨지는 발레는 무용수의 신체적 기량과 월등한 테크닉이 곧 실력으로 여겨진다. 그렇기에 실기를 기반으로 하는 무용연구에서 무용실기와 관련된 테크닉과 메소드에 관해서는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로 발레 무용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개념에 대해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연구된 바가 미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레 역량의 개념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예술 분야의 역량과 무용 역량의 개념을 바탕으로 시사점과 전제사항을 파악하는 체계적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수준에서 발레 역량의 개념 및 하위 요소(발레신체 및 기술, 발레지식, 발레감성, 발레인성)를 제시하고 이를 과학적, 체계적으로 고찰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basic research for the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ballet competency as fundamental concepts for the education, selection and developing professionalism for ballet dancers and students. Ballet, which is considered the leading genre in popularization of dance, considers the physical abilities and excellent techniques of the dancers as skills. Therefore, studies on dances are largely based on the performance and high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techniques and methods related to dance performances. For this reason, there are little studie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on the concept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ballet dance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basic research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ballet competencies as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that identifies the implications and premises based on the concepts of competencies in art and dance.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conceptualization of ballet competencies and the subcategories (ballet body and techniques, ballet knowledge, ballet emotions, ballet character) on a theoretical level, and suggests the need of a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Keywords:

ballet, competency, ballet competency, dancer, professionalism

키워드:

발레, 역량, 발레역량, 무용수, 전문성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한성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았음.

References

  • 교육부(2015a). 예술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22〕. 세종: 교육부.
  • 교육부(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 세종: 교육부.
  • 구희영(2015). 관객은 왜 감동하는가? : 발레공연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지, 15(1), 13-28.
  • 김경영(2007). 한국 발레의 연구경향과 학문적 과제. 한국스포츠리서치, 18(6), 975-986.
  • 김동곤(2008). 국내 발레교육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 한국미래춤학회 연구논문집, 15, 1-20.
  • 김은혜, 김지영, 권재윤(2018). 의사결정계층(AHP)분석을 활용한 학교무용의 교수역량 평가지표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715-729.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2.715]
  • 김정민(2007). 발레교육의 역사적 흐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정숙, 이병준(2009). 무용(교육)에서 요구되는 예술적 역량 척도요인 분석. 무용예술학연구, 28, 19-35. [https://doi.org/10.16877/kjds.28.28.200912.19]
  • 김지안(2017). 직업발레무용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대학의 발레교육 발전방안.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김혜련, 최창환(2018). 대학 한국무용 교수자의 강의역량 탐색: 네트워크 기반 의미연결망 분석의 적용. 한국무용과학회지, 35(3), 59-72. [https://doi.org/10.21539/Ksds.2018.35.3.59]
  • 문영, 서예원(2018). 융합형 무용교육자의 개념과 역량 탐색. 무용예술학연구, 69, 29-41. [https://doi.org/10.16877/kjds.69.2.201806.29]
  • 문치빈(2007). 발레연구동향 분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2, 109-130.
  • 박재홍(2005). 취미 발레수업 참여자의 동기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43, 163-174.
  • 박재홍(2007). 발레관객의 특성 이해를 통한 잠재관객 확대방안. 한국무용과학회지, 14, 15-28.
  • 박재홍(2012). 발레 스탠스의 목적과 단계별 수행. 무용역사기록학, 25, 1-17.
  • 백종면(2014). 교과교실제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7), 255~279.
  •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01001]
  • 송혜순, 황명자(2017). 예술교육 전문가로서 핵심역량과 미래 무용교육의 실천적 방안. 무용역사기록학, 46, 113-134.
  • 안형식, 김현정(2014). 체계적 고찰 연구의 개요. J Korean Med Assoc, 57(1), 49-59. [https://doi.org/10.5124/jkma.2014.57.1.49]
  • 위미나, 이병준(2008). 독일에서의 문화적 역량 담론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4, 9-32.
  • 윤정일, 김민성, 윤순영, 박민정(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 이강순(2008).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 문화예술교육연구, 3(2), 135-161. [https://doi.org/10.15815/kjcaes.2008.3.2.135]
  • 이병준, 김정숙(2009). 무용수가 인지하는 예술적 역량 연구. 예술교육연구, 7(2), 1-10.
  • 이수연(2018). 무용학 학위논문에 나타난 발레 연구 동향 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3), 133-151.
  • 이슬기(2019). 무용수의 역량에 대한 무용전공 대학생의 인식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옥선, 최의창, 정현수, 윤기준(2017). 체육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 활동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4(3), 1-23. [https://doi.org/10.21812/kjsp.2017.04.24.3.1]
  • 임은주, 김대진(2018). 중·고등학교 무용전공 희망학생들의 전문무용역량에 관한인식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1), 209-233.
  • 정은정(2017). 학교문화예술교육 무용 핵심역량의 경험적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차은주, 안병순(2017a). 무용 감성역량 모델 개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4), 537-550. [https://doi.org/10.23949/kjpe.2017.07.56.4.36]
  • 차은주, 안병순(2017b). 지식기반사회에서 무용 인적자원의 역량 증진 전략. 한국체육학회지, 56(3), 513-526. [https://doi.org/10.23949/kjpe.2017.05.56.3.38]
  • 최의창, 홍애령, 김나이(2012). 발레교육의 내용으로서 "발레정신"의 개념과 구성요소.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3), 47-67.
  • 한국보건의료연구원(2011).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홍애령(2013). 뛰어난 발레교육자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발레교수전문성의 발달과정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홍애령(2014). 발레교수전문성의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3(6), 191-206.
  • 홍애령(2015). 전문 발레교육자의 성장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발레교수전문성의 발달과정 탐색. 무용역사기록학, 36, 327-350.
  • 홍애령, 박재근, 도소이, 전은수(2019). 대학 발레 연구동향 및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전문적 모형(PM)의 실천적 적용방안탐색. 2019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54.
  • 홍애령, 석지혜, 임정신, 오헌석(2011).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23, 175-193.
  • 황인주(2012). 무용공연에서 무용수의 미적 기능에 관한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27, 151-165.
  • Bailey, R., & Pickard, A. (2010). Body learning: Examining the processes of skill learning in dance. Sport, Education and Society, 15(3), 367-382. [https://doi.org/10.1080/13573322.2010.493317]
  • Blasis, C. (1968). An elementary treatise up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art of dancing(Translated by Mary S. Evan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 Bolton, T., & Hyland, T. (2003). Implementing key skills in further education: Perceptions and issues.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27(1), 15-26. [https://doi.org/10.1080/03098770305630]
  • Bracey, L. (2004). Voicing connections: An interpretive study of university dancers’ experiences. Research in Dance Education, 5(1), 7-24. [https://doi.org/10.1080/1464789042000190852]
  • Butterworth, J. (2004). Teaching choreography in higher education: A process continuum model. Research in Dance Education. 5(1), 45-67. [https://doi.org/10.1080/1464789042000190870]
  • Cohen, B. B. (1993). Sensing, feeling and action. Northampton MA: Contact Editions.
  • Cohen, L., Manion, L., & Morrison, K. (2011).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Abingdon, Oxon: Routledge.
  • Fortin, S., Long, W., & Lord, M. (2002). Three voices: Researching how somatic education informs contemporary dance technique classes. Research in Dance Education, 3(2), 155-179. [https://doi.org/10.1080/1464789022000034712]
  • Foster, R. (2010). Ballet pedagogy: The art of teaching. Gainesvill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https://doi.org/10.5744/florida/9780813034591.001.0001]
  • Gaston, M. Z. (2017). Ballet pedagogy: A conceptual approach to teaching classical dance. San Bernardino, CA: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 Jackson, J. (2005). My dance and the ideal body: Looking at ballet practice from the inside out. Research in Dance Education, 6, 2540. [https://doi.org/10.1080/14617890500373089]
  • Kovich, Z. (1994). From intention to action: Somatic education and the dancer. in Schiller, W. & Spurgen, D. (Eds.). Kindle the fire: proceedings of the 1994 Conference of Dance and the Child International(pp.208-216). Sydney: MacQuarrie University.
  • Lavender, L. (1996). Dancers talking dance: Critical evaluation in the choreography clas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Lawson, J. (1975). Teaching young dancers: Muscular co-ordination in classical ballet. New York: Theater Arts Books.
  • Leijen, Ä., Lam, I., Simons, P. R. J., & Wildschut, L. (2008). Pedagogical practices of reflection in tertiary dance education. European Physical Education Review, 14(2), 223-241. [https://doi.org/10.1177/1356336X08090707]
  • Lewis, S. J., & Orland, B. I. (2004). The importance and impact of evidence-based medicine. J Manag Care Pharm, 10(5), S3-5. [https://doi.org/10.18553/jmcp.2004.10.S5-A.S3]
  •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 Mirabile, R. J. (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51(8), 73-77.
  • Noice, H., & Noice, T. (2006). Artistic performance: Acting, ballet, and comtemporary dance. In K. A. Ericsson, N. Charness, P. J. Feltovich, & R. R. Hoffman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pp. 489-503).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816796.028]
  • Poon, P., & Rodgers, W. (2000). Learning and remembering strategies of novice and advanced jazz dancers for skill level appropriate dance routine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1(2), 135-144. [https://doi.org/10.1080/02701367.2000.10608891]
  • Rychen, D., & Slaganik, L. (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Hogrefe & Huber Publishers.
  • Ureña, C. A. (2004). Skill acquisition in ballet dancers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practice and experti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 Warburton, E. C. (2004). Knowing what it takes: The effect of perceived learner advantages on dance teachers’ use of critical-thinking activities. Research in Dance Education, 5(1), 69–82. [https://doi.org/10.1080/1464789042000190889]
  • White, R.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 279-333. [https://doi.org/10.1037/h0040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