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4, pp.95-124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10 Sep 2017 Revised 02 Oct 2017 Accepted 18 Oct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4.95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통한 무용창작 프레임과 상호작용

김경신**
세종대학교
Dance Creation Frames & Interactions Grounded in Gadamer’s “Hermeneutic Circle : Circle of Interpretation”
Kim, Kyoung Shin**
Sejo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shink@hotmail.com

초록

이 연구는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차용하여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을 텍스트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텍스트 작업은 내가 무용수와 안무가로서 경험한 과거의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탐구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었다. 나의 창작과정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행위에 있어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은 이론적인 바탕과 철학적인 근거로 활용되었으며, 디지털매체인 영상편집프로그램과 음악작곡프로그램은 작품을 분석하고 움직임을 탐구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또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를 실제 안무에 적용하여 그 창작과정을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나의 움직임 재현하기”에서 나의 과거의 춤과 안무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의 움직임과 창작과정을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함께 상호보완적 연속성이 존재하는 반성적 구도를 유지하면서 기술할 수 있었다.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은 과거와 현재에 존재하는 나의 춤과 창작물에 대한 접근방법을 전체와 부분으로 나누어 관찰할 수 있는 이해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영국 안무가와의 협업작품 <Unplugged Bodies>의 창작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무용창작과정에 대한 연구의 가치를 기술할 수 있었다. 이후,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을 철학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하기 위해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차용한 무용창작과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다머와의 조우를 통해 자기반성적 태도를 가지는 안무자의 능동적 반성 체계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거치며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의 상호작용으로 안무되어진 나의 작품 <Empty Project>의 창작과정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기술할 수 있었다. 나아가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가 어떠한 형태와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하였는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바탕으로 무용창작과정에서 발견된 상호작용인 나와 무용수, 나와 디지털매체, 나와 참여자 그리고 나와 해석학적 순환이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내가 주체가 되는 창작과정을 연행적으로 기술하였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나만의 창작프레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석학적 창작 프레임은 관찰, 분석, 편집, 반성, 적용이며 이와 같은 요소들이 비순차적으로 창작과정에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나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자기반성적 견해로 접근함으로써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의 결과는 새로움을 창조하는 예술가와 안무자에게 모종의 타당성을 인식시켜 새로운 매개체를 통한 창작과정의 접근을 제시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xtualise creative processes with a digital medium by adopting Hans Georg Gadamer’s so-called ‘hermeneutic circle’. This texualisation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previous creative processes that I experienced as a dancer as well as a choreographer. In terms of evaluating and analysing the processes, Gadamer’s hermeneutic circle functions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hilosophical basis, and also video editing and music composing programmes were utilised as a tool to examine art works and to investigate movements. Besides, this paper analyses and describes how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were applied into the actual choreography. From “Reproducing My Movements”, descriptions of my dance and choreography in the past are shown. Through such step, I was able to evaluate my own movements and creative processes with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by maintaining the self-reflective structure that exists in the complementary continuity. Gadamer’s hermeneutic circle was used as an understanding too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and the wholes towards my dance and creative works in the present and past. Analysing the creative process of <Unplugged Bodies>, which is a cooperative work with British choreographer enabled me to recognise the value of the study on the creation process of the dance with the digital medium.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roach to it philosoph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hole process borrowed from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Moreover, through the encounter with Gadamer, it was feasible to pay attention to an active self-reflective system in which choreographers can bring critical attitudes. Going through all the procedures gave me an opportunity to scrutinise and transcribe the work <Empty Project> I choreographed with a concentration on the interaction with Gadamer’s hermeneutic circle from the various point of view. Furthermore, this study states which forms and what methods allow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to be interactive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this, it analy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dancers, the self–digital medium, the self–participants, and the self–hermeneutics coming from the interaction founded in the creation processes of the dance based on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Herewith, the creative processes becoming the self, are described performatively, and by the benefit of this research result, my own frames for the dance creation are discovered. It has shown that the hermeneutic creative frames consist of observation, examination, compilation, reflection, and application: these factors appear non-sequentially. By understanding the creation processes grounded in my own story and accessing them in the self-reflective views, the outcome from the creative processes using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can offer new approaches to creative processes through a vehicle for making artists and choreographers searching for newness aware of a certain validity.

Keywords:

Hans Georg Gadamer, hermeneutic circle, digital media, dance creation frame, performative research

키워드: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 해석학적 순환이론, 디지털매체, 무용창작 프레임, 연행연구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박사학위논문을 수정 및 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강현숙, 조기숙(2016). ‘고유수용감각’에 기반한 무용 창작과정 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40, 55-78.
  • 권경미(2016). 문화와 내러티브의 융․복합 교육과정과 실제-성신여대 <문화내러티브 전공>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15(1), 293-313.
  • 길은영(2015). 미대생의 미술치료수업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예술교육연구, 13(4), 39-61.
  • 김기란(2007). 조선시대 무대 공간의 연행론적 분석-산대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 249-272.
  • 김미레, 조기숙(2014). 무용작품 <Holon>에 관한 연구-몸적학습(Somatic Learning)을 기반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 32, 1-20.
  • 김병극(2012).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입장과 탐구과정에 대한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15(3), 1-28.
  • 김성희(2010). 여성주의 영상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정태, 이선희(2001). 디지털 이론 및 실험. 서울: 도서출판차송.
  • 김혜수(2010).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따른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혜은, 송혜순(2006). 무용창작과 표현의 기초적 이해. 파주: 형설 출판사.
  • 도정일(1999). 텍스트 이론과 텔레비전. 프로그램/텍스트, 1999년 창간호, pp.41∼74.
  • 류정아(2004). 축제의 연행론적 분석. 한국프랑스학논집, 47, 159-178. .
  • 마승연(2017). 디지로그의 개념을 수용한 무용창작작품「공존의 그늘」에 나타난 예술적 의미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문상희(2002). 디지털 영상제작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문헌일(1997). 존재이해에서 예술작품으로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4, 225-257.
  • 박명숙(2010).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무용해석의 순환 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5, 139-162.
  • 박숙영(2016). 디지털미디어와 예술. 서울: 이화출판.
  • 박지연, 박신현, 이병준(2012). 연행이론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축제의 현상학. 문화예술교육연구, 7(1), 97-114.
  • 서연화(2016). 비주얼내러티브의 유형별 특성 사례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23, 189-201.
  • 소희(2016), 예술가로서의 ‘나’와 무의식적 심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손수현(2006). 가다머(H. G. Gadamer)의 해석학을 통해 본 무용해석에 대한 이론적 담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8, 113-132.
  • 안나영(2013). 정보화 사회의 인간소외현상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차갑게 식어가다」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안원현(2009). 가다머의 해석학적 경험과 이해, 그리고 예술비평. 새한철학회, 57(3), 237-255.
  • 유혜령(2016). 질적 연구에서 의미해석 과정의 성격과 원리: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해석학에 기초하여. 교육인류학연구, 19(4), 1-40.
  • 유희주(2008). 디지털시대의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가 무용예술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이병준(2007). 연출과 퍼포먼스연구에서 바라보는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연구, 2(1), 103-116.
  • 이병준, 이유리(2014). 연출과 연행: 미래교육의 핵심역량. 문화예술교육연구, 9(6), 171-190.
  • 이원곤(2008).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 이정표(2012). 방법론으로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고찰. 초등교육학연구, 19(2), 127-147.
  • 자넷 애드쉐드(1996), 무용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현대미학사.
  • 전아람, 김형남, 정연수(2016). 데보라 콜커(Devorah Colker) <Mix> 작품 중 <등반>에 나타난 융복합성 분석. 무용역사기록학회, 41, 159-185.
  • 정연수(2013). 현대무용<균형의 조건>작품분석 : “performing Body" 개념적용 = Analysis of the Dance Work <condition of Balance> through the "Performing Body" concept. 한국무용기록학회, 30, 201-218.
  • 정연수(2014). 창의적 움직임을 위한 예술 작품 창작 구성 체계: 메를로-퐁티와의 조우.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정연재(1999). 철학적 해석학으로의 길-가다머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6, 230-262.
  • 조기숙(2013). 무용에서 ‘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에 관한 고찰–개념과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 31, 229-255.
  • 조양희(2012). 디지털매체 시대의 무용작품 분석을 통한 안무방법 확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조용환(2013).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질적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3추계공동학술대회, 3-27.
  • 조은미(1994). 안무의 실제. 서울: 도서출판 정담.
  • 조정희, 조기숙(2012). ‘춤추는 몸’의 인식에 관한 탐구–무용작품 <Body’s monologue>의 체험분석을 통하여. 한국무용기록학회, 24, 149-167.
  • 최미자(2007). 무용창작의 이해와 표현. 서울: 광림북하우스.
  • 최정윤(2014).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마이요의 발레작품 <신데렐라> 분석–계모와 두 자매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1990). 진리와 방법2-철학적 해석학의 기본 특징들. 문학동네.
  • 황인주(2004).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무용교육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 연구. 서울: 정보통신부.
  • Christiane Paul(2007). 디지털 아트. 천안: 시공아트.
  • Eric R. Kandel(2014). 통찰의 시대.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 Graeme Sullivan(2015). 시각예술에서의 탐구 예술실행연구.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