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3, pp.73-84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17
Received 31 May 2017 Revised 30 Jun 2017 Accepted 25 Jul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3.73

한국무용 상해유발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정경원 ; 김수미 ; 이수현
세종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A Kinetic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Inducing Injuries
Jung, Kyeong-Won ; Kim, Su-Mi ; Lee, Su-hyun
Sejong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jo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k9701222@daum.ne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수를 대상으로 한국무용 움직임 중 두발모아 뛰어 한발 착지 동작과 연풍대 동작의 운동역학적 요인을 분석하여 무용수의 동작 효율성을 향상시켜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무릎상해(n=5), 발목상해(n=5), 정상(n=8) 그리고 무형문화재 전수자(n=5) 그룹으로 구분하였고 두 동작의 전·후방, 내·외측, 상·하방 변위 및 굴신회전, 배측굴곡, 내회전을 측정하기 위해 5대의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동작분석을 400Hz로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일원변량 분석을 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 p= .05수준에서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발모아 뛰어 한발 착지 동작 시 그룹간 무릎의 운동역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지면반력기 위에서 상·하 지면반력이 가장 높은 시점와 오른발이 지면반력기에서 떨어지기 직전의 시점에서 전수자그룹이 무릎, 발목 및 정상그룹보다 전·후방 움직임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1). 또한 무릎의 굴신회전은 정상 및 전수자그룹이 무릎 및 발목부상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점프를 하고 바닥에 닿은 다음 앞으로 걸어가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구사하기 위해 전수자 그룹이 착지시 무릎의 충격을 자연스럽게 흡수하면서 무릎의 유연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연풍대 동작의 그룹간 무릎의 운동역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풍대 동작 시 오른발이 지면반력기에 떨어지기 직전의 시점에서 전수자그룹이 무릎, 발목, 정상그룹보다 내·외측 움직임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상·하방 움 직임에서는 무릎부상그룹이 전수자, 발목, 정상그룹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앉았다 일어나 앞으로 걸어가기 위해 무릎의 내·외측 움직임과 발목의 내회전이 커야 숙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무용수의 동작 효율성을 향상시켜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면 한국무용 상해유발 동작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프로그램 구성과 부상치료 및 상해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ze the kine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which were consist of Jump on one Foot and YeonPungDae. We have recording the three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which factors are causing injuries among dancers. We have recruited 23 Korean female dancers via cluster sampling and survey for injury history which were knee injury group(n=5), ankle injury group(n=5), normal group(n=8), high skill group(n=5). We have recording three movement using 5 camera with 400Hz 3D motion analysis device and measuring ground reaction force via platform. To analyze the data, One-way ANOVA were employed following duncan post-hoc test at p=.05 level.

To kinetic analyzing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inducing Injury,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Jump on One Foot movement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t knee anterior-posterior translation which were lower translation in high skill group compare to knee, ankle & normal group during event 2 & 3 phase(p<.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t knee flexion-extension rotation which were higher rotation in normal & high skill group compare to knee & ankle group during event 3 phase(p<,005). To improving Jump on One Foot movement, It is recommended to more knee anterior-posterior translation which absorbing more impact force at landing phase. Second,, YeonPungDae movement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t knee medial-lateral translation which were higher translation in high skill group compare to knee, ankle and normal group during event 4 phase(p<.001). To improving YeonPungDae movement, It is recommended to more knee medial-lateral translation and ankle internal rotation which decreased a unstable ankle movement.

Keywords:

Korean Traditional Dance, Dance Injury, YeonPungDaedance, kinematics

키워드:

한국무용, 무용상해, 연풍대, 운동역학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제1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을 일부 요약 및 보완한 내용임.

References

  • 권윤방(2003). 무용학개론, 서울 :대한미디어..
  • 김기웅, 신제민, 김병현(2002). 기술수준에 따른 신체분절간 협응특성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41(5), 895-911..
  • 김다래(2015).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별 상해 특성의 무용 역학적 질적 분석 : 전공별 상해원인, 상해다발동작구간과 상해부위, 상해기전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수경, 최성이(2003). 발레전공자와 한국무용전공자의 발목관절 상해 유형에 관한 연구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과학회지, 7, 11-21..
  • 김영자(1990). 배드민턴 선수들의 상해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은정(2003). 무용수들의 무용참가와 상해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36, 185-200..
  • 김제영(2008). 무용과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무용학회지, 7(2), 61-70..
  • 김철주, 이경일, 홍완기(2011). 하지근력의 좌우 비대칭성이 드롭 랜딩 시 동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1(2), 173-179..
  • 김향선, 임학선(2008). 한국무용 전공 여고생들의 대퇴후부근(슬건근) 상해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16, 1-14..
  • 나안숙(2014) 대학 무용 전공자의 궁중무용 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1(3). 69-82..
  • 민현주(2011). 국내외 무용 과학 연구의 주제 경향 비교. 대한무용학회지. 66, 71-88..
  • 방유선(2006). 발레경력이 인체체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차영(2008). 무용기능학. 금강미디어..
  • 오혜순(1993). 무용동작 학습과정의 개념적 모델. 한양대학교 체육과학 연구소 체육과학. 13, 93-113..
  • 윤완영(2013). 발레 무용수와 일반여대생의 Q-angle 분석을 통한 상해예방 제안. 한국무용과학회지, 30(2), 103-113..
  • 윤희천(1996). 대학 운동선수의 운동 상해 시 응급처치 실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이성진(2005). 무용전공 여고생들의 상해형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은진(2010). 무용 전공별 동작 유형에 따른 무용 외상 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지선(2007). 승무연풍대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체육과학연구. 18(1).30-38..
  • 이지선, 김지태(2014). 광주검무 연풍대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3(4) 1387-1396..
  • 조은옥, 김규완(2012). 자진모리장단의 연풍대 동작시 하지의 운동학적 및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1(2) 1269-1281..
  • 최성이(1995). 발레무용수의 족관절 상해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18, 255-266..
  • Bowling, A.(1989). Injuries to dancers: prevalence, treatment, and perceptions of causes. BMJ 18298(6675):731-734..
  • Byhring, S., Bo, K.(2002). Musculoskeletal injuries in the Norwegian National Ballet: a prospective cohort study. Scand J Med Sci Sports. 12: 365-370..
  • Decker, M. J., Torry, M. R., Wyland, D. J., Sterett, W. I., Steadman, J. R.(2003). Gender differences in lower extremity kinematics, kinetics and energy absorption during landing, Clinical Biomechanics, 18(7), 662-669..
  • Ford, K. R., Myer, G. D., Smith, R. L., Vianello, R. M., Seiwert, S. L., Hewett, T. E.(2006). A comparison of dynamic coronal plane excursion between matched male and female athletes when performing single leg landings. Clin Biomech(Bristol, Avon). 21(1):33-40..
  • Hewett, T. E., Ford, K. R., Myer, G. D., Wanstrath, K., Scheper, M.(2006). Gender differences in hip adduction motion and torque during a single-leg agility maneuver. J Orthop Res. Mar;24(3):416-21..
  • Hillier, J. C., Peace, K., Hulme, A., Healy, J. C.(2004). Pictorial review: MRI features of foot and ankle injuries in ballet dancers. Br J Radiol. 77(918):532-7..
  • Howese, A., J.(1972). Orthopaedists and ballet.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89, 52-63..
  • Khamis, S., & Yizhar, Z.(2007). Effect of feet hyperpronation on pelvic alignment in a standing position. Gait & Posture, 25(1), 127-134..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6.02.005]
  • Khan, K., Brownn, J., Way, S., Vass, N., Crichton, K., Alexander, R., Baxter, A., Butler, M., Wark, J.(1995). Overuse injuries in classical ballet. Sports Med. 19(5):341-357..
  • Moran, K.. A., & Marshall, B. M.(2006). Effect of fatigue on tibial impact accelerations and knee kinematics in drop jump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8(10), 1836-1842.. [https://doi.org/10.1249/01.mss.0000229567.09661.20]
  • Ryan, J., Stephens, E.(1983). The Epidemiology of Dance injuries, Chicago. Pluribus press..
  • Self, B. P., & Paine, D.(2001). Ankle biomechanics during four landing techniqu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3(8), 1338-1344.. [https://doi.org/10.1097/00005768-200108000-00015]
  • Solomon, R., Brown, T., Gerbino, PG., Micheli, LJ.(2000). The young dancer. Clin sports Med. 19(4): 717-39..
  • Van Deun, S., Staes, F. F., Stappaerts, K. H., Janssens, L., Levin, O., & Peers, K. H.(2007). Relationship of chronic ankle instability to muscle activation patterns during the transition from double-leg to single-leg stance.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5(2), 274-281.. [https://doi.org/10.1177/0363546506294470]